거식증 증상 자세히 알아봐요

안녕하세요 ‘방구석 허준’ 입니다. 오늘은 젊은 여성의 환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거식증(Anorexia nervosa)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명에 앞서 해당 질환은 체중 증가에 대하여 극도의 두려움을 보이는 섭식 장애(Eating disorder)의 한 종류로, 신경성 식욕부진증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1. 거식증 원인

그렇다면 신경성 식욕부진증이 나타나는 주된 요인으로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안타깝게도 현대의학에서 명확한 거식증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청소년기의 체중 관리에 대한 강박 관념,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연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밖에 요인으로 우울 장애(Depressive disorder) 혹은 불안 장애(Anxiety disorders) 등 정신 장애의 또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도 존재합니다.

1-1. 진단 방법

거식증 진단은 대게 전문의의 문진을 통해 이뤄지게 되며, 아직까지 객관적으로 확진하는 검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진단할 때에는 우울이나 불안, 강박 장애, 인격 장애 등 다른 문제가 있는지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신체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한 혈액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국내 심사평가원 통계자료에 따르면 해당 질환으로 내원한 환자의 수는 2021년 기준 2,201명을 기록했으며, 이러한 수치는 2017년과 비교했을 때 약 30% 늘어났습니다.

거식증 원인에 대한 사진


2. 거식증 증상

이어서 신경성 식욕부진증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표적인 거식증 증상으로 설사제를 남용하거나, 과도한 운동 등 체중 감소를 위한 부적절한 식이 행동을 하게 됩니다. 또한 음식을 감추기도 하며, 체중 감소와 관련된 비정상적인 행동들은 남들이 모르게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부적절한 식이 행동은 빈혈이나 탈수, 골다공증(Osteoporosis)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일부 거식증 증상이 너무 심한 환자들은 심장마비로 생명에 치명적인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거식증 증상에 대한 사진


3. 거식증 치료

위와 같이 다양한 신체 변화가 나타나는 거식증 치료는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대표적인 신경성 식욕부진증 치료 방법으로 약제 투약 및 정신 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만약 내과적 증세가 나타난 경우라면 내과적 증상을 함께 교정하게 됩니다.

이외에도 체중 감소가 매우 심하고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라면 비위관을 넣어주거나 위루술(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 PEG)을 시행하여 강제로 체중을 늘리게 됩니다.

거식증은 만성적인 결과를 보이며, 예후가 매우 나쁜 질환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증 식욕부진 환자의 약 5~18%는 목숨을 잃으며, 5년 완치율 역시 여성은 39%, 남성은 59%로 낮습니다.

끝으로 해당 질환은 재발이 잦은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가족들은 지속적인 관심과 일관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거식증 치료에 대한 사진


더 많은 건강 정보 확인은 ‘방구석 허준’ 방문해 주세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