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을 하면 언제든 옷에 색조 화장품이나 베이스 메이크업 자국이 묻을 수 있죠. 그런데 화장품을 제때 지우지 않고 그냥 방치하면 섬유 깊숙이 스며들어 나중에 제거하기 훨씬 어렵게 된답니다. 본문에서는 옷에 묻은 화장품 지우는 방법에 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옷에 화장품 묻었을 때
본문의 서론 부분에서 언급한 것처럼 옷에 묻은 화장품을 방치할 경우, 지울 때 애를 먹을 수 있습니다. 마치 물감을 처음에만 살짝 묻혀 놓았다면 쉽게 닦일 텐데, 시간이 지날수록 그 색이 종이에 진하게 스며들어버리는 것과 유사해요. 그렇다면 화장품이 옷에 묻었을 때 왜 이렇게 잘 안 지워질까요? 이유는 굉장히 단순합니다.
파운데이션, BB크림, 컨실러 등 대부분의 화장품에는 일정량의 오일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요. 우리가 흔히 촉촉함을 유지해주고 발림성을 좋게 만드는 화장품의 특징이기도 한데요. 이 기름기 많은 화장품이 옷에 묻으면 물에 잘 녹지 않습니다. 색조 화장품, 특히 립틴트나 틴트형 블러셔 등은 원래 입술이나 볼에 색소를 착색시키도록 만들어졌어요. 당연히 이런 화장품이 섬유 조직에 달라붙을 경우, 쉽게 없어지지 않는답니다.
우리 피부나 머리카락도 그렇지만, 섬유 역시 미세한 틈이 있어요. 화장품 얼룩이 옷에 닿는 순간은 표면에 머물러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섬유 깊숙이 들어가면서 얼룩을 키우죠.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옷에 묻은 화장품이 쉽게 지워지지 않는 거예요. 하지만 적절한 방법과 화장품 지우는 순서만 알면 의외로 쉽게 해결할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옷에 묻은 화장품 지우는 방법
옷에서 화장품 얼룩을 발견하자마자 바로 물티슈나 물수건으로 닦아내려는 분들이 많아요. 그러나 이러한 행위는 가급적 삼가는 것을 권장 드려요. 물을 바로 사용하면 기름 성분이 넓게 퍼지면서 더 큰 얼룩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에요. 또한 옷감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다짜고짜 박박 문지르는 행동은 피해주세요. 오히려 얼룩이 커질 수 있으니 마른 휴지로 부드럽게 눌러서 표면의 화장품을 제거하시는 게 먼저예요.
파운데이션이나 BB크림처럼 유분기가 있는 제품은 중성세제로 먼저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미지근한 물에 중성세제를 약간 풀어줘요. 얼룩 부분을 그 물에 담근 뒤, 손으로 살살 주물러줍니다. 어느 정도 풀어지면 바로 흐르는 물로 헹궈주세요. 시간이 정말 없거나 중성세제가 없다면, 핸드워시나 주방 세제를 살짝 사용해도 괜찮아요. 단, 변색을 예방하기 위해 잘 보이지 않는 옷 안쪽 부분에 먼저 테스트해보고 사용해 주세요.
베이킹소다와 식초는 기름때나 악취 제거에 탁월한 조합이에요. 옷에 묻은 화장품을 빼는 데에도 잘 쓰일 수 있답니다. 베이킹소다와 식초를 사용해 옷에 묻은 화장품 지우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얼룩 부위에 베이킹소다를 약간 뿌려줍니다. 식초를 살살 뿌려주면 거품이 올라오는데, 손으로 살짝 문질러줘요. 5분 정도 두었다가 미지근한 물로 헹궈주면 화장품이 말끔히 지워집니다.
- 마른 휴지로 부드럽게 눌러 겉에 묻은 화장품을 제거
- 미지근한 물에 중성세제를 풀고 얼룩 부위를 담근 후 살살 주물러줌
※중성세제가 없을 시 핸드워시 혹은 중방 세제 소량 사용 - 얼룩이 풀리면 흐르는 물로 깨끗이 헹굼
옷에 묻은 화장품이 지워지지 않을 때
앞서 소개한 옷에 묻은 화장품 지우는 방법으로 얼룩이 지워지지 않을 경우,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좋을까요? 먼저 얼룩이 짙다면 중성세제나 울 전용 세제를 푼 물에 10분에서 20분 정도 담가두는 것도 방법이에요. 시간이 지날수록 얼룩이 풀릴 수 있으니 조급해하지 말고 잠시 기다려보세요. 하얀 옷이라면 표백제(bleaching agent)를 국소 부위에만 사용해볼 수 있어요. 하지만 색상있는 의류라면 색이 빠질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고가의 옷이거나 소재가 예민해 손상 위험이 있다면, 주저하지 말고 세탁소를 방문해 주세요. 물이나 세제로 직접 닦으려다 오히려 얼룩이 번지거나 섬유가 손상될 수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에요. 특히 특히 오일 성분이 들어간 화장품은 지우는 것이 더 어렵답니다. 세탁소를 방문할 경우, 화장품 얼룩은 대부분 깨끗이 해결될 수 있습니다.
마치며
본문 내용을 정리해보면 옷에 묻은 화장품은 기름기와 색소 성분 때문에 쉽게 지워지지 않아요. 그렇지만 빠른 조치와 적절한 세정 방법으로 얼마든지 해결이 가능합니다. 얼룩이 생기자마자 마른 휴지로 눌러 흡수시키고, 중성 세제를 사용해 살살 제거한 뒤, 필요하다면 베이킹소다나 식초 또는 전용 얼룩 제거제로 마무리해보세요. 끝으로 본문 내용과 관련하여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을 알아보겠습니다.
베이킹소다와 식초는 모든 의류에 사용해도 괜찮나요?
베이킹소다와 식초 사용이 모든 옷에 다 괜찮진 않아요. 면이나 린넨처럼 튼튼한 재질은 괜찮은데, 실크나 울처럼 예민한 소재는 변색되거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답니다. 가능한 눈에 잘 안 띄는 안쪽 부분에 먼저 테스트해보시고, 괜찮은 걸 확인한 다음에 쓰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옷에 묻은 화장품을 방치했다가 얼룩이 심해졌을 경우, 집에서 해결할 수 있나요?
화장품 얼룩을 오랫동안 방치하면 색이 진해지고 섬유에 깊게 배어서 집에서 지우기가 쉽지 않을 수 있어요. 우선적으로 중성세제를 사용해서 부드럽게 문질러보시고, 베이킹소다랑 식초를 섞어 살짝 발라보는 방법도 시도해볼 수 있어요. 이런 방법들을 해봤는데도 얼룩이 남거나, 혹시 옷감이 상할까 걱정된다면 무리하지 마시고 세탁소에 맡기시는 것이 좋습니다.